
교과목개요
직조는 인류의 역사와 함께 해 왔다고 해도 지나치지 않을 만큼 우리 인간생활과 아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추위로부터 신체를 보호하거나 보온유지를 위하여 의복(clothing)을 만들거나 벽걸이(wall-hanging), 바닥 깔개(floor-covering) 등 장식적인 기능은 물론 다양한 실용적 목적으로 세계 곳곳에서 수용하여 왔으며 더구나 공예적 한계를 벗어나 순수예술의 한 장르로서 대중들과 호흡을 같이하고 있다.
이렇게 직조예술이 오늘날 다양하게 발전할 수 있었던 것은 무엇보다도 그 근간을 이루고 있는 타피스트리의 영향이 적지 않은데 따라서 본 교과목은 타피스트리 기법, 특히 전통 타피스트리의 역사적 배경(고대, 중세)을 살펴봄으로써 직조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기본조직 등 기초과정을 학습함으로써 실로 표현되는 조형예술 활동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교수목표
1. 고대, 중세 타피스트리의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전통 타피스트리 직조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
2. 타피스트리 직조에 필요한 기본조직을 습득한다.
3. 다양한 실을 사용해 봄으로써 실에 대한 감각과 특성을 이해한다.
4. 기본조직의 반복 훈련을 통하여 기법을 숙지하고 표현능력을 배양한다.

주요 학습내용 및 수업진행방법
1. 수업은 타피스트리의 기본조직을 익히고 표현능력을 기르기 위하여 실기중심으로 이루어지며, 타피스트리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하여 이론강의를 병행한다.
2. 실기작업은 틀직기(frame) 또는 수직직기(vertical loom)의 제작과 조립부터 경사 걸기, 하도 제작 및 부착, 기본조직 짜기, 마무리 작업과 후포지 붙이기 등 타피스트리 제작 전과정을 주별로 단계적으로 실행한다.
3. 실기지도는 기본조직의 구조에 대한 이해와 기법의 완전한 숙지를 위하여 짜고 푸는 과정을 반복 실시한다.
4. 이론강의는 실기작업을 하기 위하여 틀직기를 제작하거나 경사와 위사 그리고 직조작업에 필요한 여러가지 소도구를 준비하는 동안 슬라이드 등 기타 시청각 자료를 이용한다.
5. 이론강의 내용을 복사물로 제작하여 학생들에게 제공한다.
6. 실기평가는 완성된 결과물에 한한다.

학습 성과 평가방법
1. 출석: 10%(4회 결석시 F학점 부여)
2. 과제물: 10%
3. 중간평가:40%(1주-7주까지 수업 중의 수시평가와 기본조직에 대한 실기 완성도)
4. 기말평가:40%(9주-15주까지 수업 중의 수시평가와 소품제작에 대한 밀도와 완성도)

교재 및 참고문헌
주교재
1. 담당교수의 강의자료
2. 이미학, "타피스트리", 시공사, 1996
부교재
1. 한선주, "수직의 기초", 월간디자인, 1996.
2. Thomson, F.P., "Tapestry Mirror of History", Crown Publishers, Inc., New York, 1990.
3. Verlet, Pierre 외, "The Book of Tapestry", The Vendome Press, 1977.